사후피임약 복용 후 출혈, 부정출혈인지 생리인지 구별하는 방법 완벽 가이드

사후피임약 복용 후 출혈, 부정출혈인지 생리인지 구별하는 방법 완벽 가이드

사후피임약 복용 후 출혈 부정출혈인지 생리인지 구별하는 방법 썸네일 이미지

사후피임약 복용 후 나오는 출혈, 부정출혈인지 생리인지 시기·양·색으로 구분하는 실용 체크리스트와 대응법을 쉽게 정리했습니다.


사랑하는 사람과 관계 후 사후피임약을 먹고 며칠 뒤 갑자기 출혈이 나왔을 때 진짜 당황했스러우시죠. 이게 약 때문인지 곧 생리가 시작되는 건지 몰라서 한참 망설여지실겁니다.

혹시 “이게 부정출혈인가, 생리인가?” 하고 고민한 적 있으신가요? 저는 그때 직접 기록도 해보고 여러 기준을 찾아 비교해봤습니다. 아래는 실제로 도움이 되었던 판단 기준과 실용적인 대응법을 한 번에 정리한 글입니다.

바로가기 버튼 👉 내 근처 산부인과 병원 조회하기 : 대한산부인과

복용 시점과 출혈 시작일로 구분하는 기본 원칙

복용 직후(수일 내) 출혈이 나오면 약물 유발 부정출혈을 먼저 의심합니다.

  • 복용 후 2주~3주 경이나 평소 생리 예정일과 비슷한 시기에 규칙적이고 양이 일정하면 월경(생리)일 가능성이 큽니다.
  • 개인차가 크므로 위 기준은 일반적 가이드입니다. 심하거나 비정상적이면 진료를 권합니다.
출혈의 양·색·패턴으로 보는 체크리스트

다음 항목을 체크해 출혈 특성을 확인해 보세요.


  • 소량: 하루 패드 0–2회 미만 교체 → 부정출혈 가능성↑
    보통~많음: 하루 패드 3회 이상 교체 → 생리 가능성↑

  • 갈색·분홍빛·묽음 → 부정출혈에서 흔함
    선홍색·진한 적색 → 생리일 가능성↑
  • 패턴
    간헐적·불규칙(하루~이틀 가량) → 부정출혈
    3~7일 일정한 흐름(처음엔 적다가 중간에 증가, 다시 감소) → 생리
구체적 수치와 구분표
항목 부정출혈(약물 유발) 생리(월경)
시작 시기 복용 후 0–7일 복용 후 14–21일 또는 평소 예정일
하루 출혈량(참고) 패드 0–2회 패드 3회 이상
지속일 보통 1–3일 보통 3–7일
색상 갈색·핑크·묽음 선홍색·진한 적색
동반 증상 통증 적음 월경통·덩어리 가능

실제 판단에선 위 표의 수치를 종합해서 보세요. 예를 들어 복용 3일째 갈색 소량 출혈이 간헐적으로 있다면 부정출혈로 볼 확률이 높습니다.

언제 병원(의료진) 상담이 필요한가

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지체하지 말고 의료기관을 방문하세요.

  • 하루에 패드 한 장을 1시간 내 적실 정도로 출혈이 많을 때(과다출혈).
  • 심한 어지러움, 실신 징후, 고열, 또는 견딜 수 없는 복통이 동반될 때.
  • 출혈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예정된 생리가 크게 벗어나 반복적으로 이상할 때.

의료기관에서는 임신 검사, 빈혈 검사, 필요 시 초음파 검사 등으로 원인 규명과 치료를 합니다.

Q&A (자주 묻는 질문과 간단 답변)
Q: 복용 후 2일째 출혈이 나왔어요. 이건 무엇일까요?
A: 보통 복용 직후 0–7일 이내의 소량 출혈은 약물 유발 부정출혈 가능성이 큽니다. 양이 적고 간헐적이면 우선 관찰해도 됩니다.
Q: 패드 한 장을 1시간에 1장씩 적시면 어떻게 하나요?
A: 과다출혈이므로 즉시 응급실이나 산부인과 진료가 필요합니다.
Q: 사후피임약 복용 후 언제 임신검사를 할 수 있나요?
A: 성관계 후 2주 이상 경과하거나 예정된 생리가 지나도 출혈 패턴이 이상하면 임신검사를 권합니다.
Q: 출혈이 2주 이상 이어지면요?
A: 지체 말고 산부인과에서 진료를 받아 추가 검사(임신, 빈혈 등)를 받으세요.

마무리로 한 줄 정리하자면: 복용 직후 수일~1주 내에 소량으로 나타나는 출혈은 대부분 약물 유발 부정출혈이지만, 출혈의 양·색·시기를 종합해 평소 생리 패턴과 비슷하면 생리일 가능성이 큽니다. 기록을 남겨(날짜·양·색) 의료 상담 시 보여주면 진단에 큰 도움이 됩니다.

댓글 쓰기

0 댓글